- 리눅스 재단에 의해 관리되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배포, 스케일링 등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관리 시스템? → 쿠버네티스(Kubernates)
- 도커는? → 소프트웨어 컨테이너 안에 응용 프로그램들을 배치시키는 일을 자동화해주는 소프트웨어
- 하이퍼바이저는? →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운영체제를 구동 가능한 SW 가상화 플랫폼
- 자원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일정을 작성하는 기법은 → CPM에서 발전한 CCPM임!
- PERT는 일의 순서를 정리 → 비관치, 중간치, 낙관치의 3점 추정 방식을 통해 일정 관리
- 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프로세스와 메모리를 관리하는 것이 커널(kernel)임 !
- 증감 → 산술 → 시프트 → 관계 → 비트 → 논리 → 삼항 → 대입
- SSH(Secure Shell)의 기본 네트워크 포트는 22번임!
-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,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, 접근 경로 설계와 관계되는 것은 물리적 설계임!
-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?
- 위치 투명성으로 인해 물리적 위치를 알 필요가 없음
- 장애 투명성으로 인해 이상이 생기더라도 무결성 보존 가능
- 인프라 추가 구축에 비용 들지만, 시스템 확장이 쉬움
- 순수 관계 연산자? → 셀렉트, 프로젝트, 조인, 디비전
- 트랜젝션의 특성 4가지
- 원자성(Atomicity) → 트랜잭션 구성 연산 전체가 모두 정상 실행 or 모두 취소
- 일관성(Consistency) → 시스템 고정 요소는 수행 전과 수행 완료 후 상태가 같아야 함
- 격리성(Isolation) →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함
- 영속성(Durability) → 성공 완료된 트랜잭션 결과는 영속적으로 DB에 저장되어야 함
- DROP TABLE 테이블명 [CASCADE | RESTRICT]
- CASCADE → 참조하는 테이블까지 연쇄적으로 제거
- RESTRICT → 다른 테이블이 삭제할 테이블 참조 중이면 제거 안 함
- DB 로킹의 특징
- DB, 파일,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음
- 단위가 작아지면 DB 공유도 증가 , 오버헤드도 대신 증가
- 한번에 로킹 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함
- DB에서 인덱스란?
- 데이터베이스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는 DBMS의 요소, 테이블과 클러스터에 연관 → 독립적인 저장 공간 보유, DB에 저장된 자료를 더 빠르게 조회하기 위해 사용
- 트랜잭션은?
- DB 시스템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기본 단위
- 역정규화(Denormalization)?
- 정규화된, 엔티티, 속성, 관계에 대해 성능 향상과 개발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, 통합, 분리 등을 수행
- 개체-관계 ER 다이어그램 기호와 의미
- 개체 → 사각형
- 속성 → 타원
- 관계-속성 연결 → 선
- 관계 → 마름모